NR
-
5G Layer 3 - Overview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6. 07:02
마지막으로 다뤄볼, Layer 3는 RRC와 NAS라는 Sub-Layer로 구성되어 있다. Layer 3는 Data를 실제로 주고받기 위한 U-Plane에 대한 Protocol이 아니라, Control Signal을 주고받는 C-Plane으로 구성되어있다. RRC Layer에서는 UE-gNB간의 하위 Layer Interface에 필요한 Radio Resource Control을 담당하고, NAS Layer에서는 UE-Core Network간의 Signaling을 담당하게 된다. 각 Sub-layer의 역할로 한 단계 더 들어가보자. RRC Layer RRC Layer는 아래쪽 2계층, 1계층의 Resource Allocation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UE가 gNB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서로 ..
-
5G TDD에서의 Slot Format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6. 01:01
5G에서는 CP-OFDM을 주로 사용하고, Normal CP는 14개의 symbol이 1개의 slot을 구성한다. DL/UL Symbol을 시간 차원에서 나누는 TDD에서는어떻게 할당해주는 걸까? Slot Format 5G NR의 TDD 방식에서는 Symbol 단위로 자원할당이 이루어지는데 이 symbol을 Uplink용으로 사용할지, Downlink용으로 사용할지에 대한 정보를 담아서 줘야한다. 3GPP에서 정한 61개의 Format중에 하나를 골라서 전송한다. Slot Format의 14개 symbol에 들어갈 수 있는 경우의 수는 각각 D/U/F가 있는데, Flexible (F)는 D나 U 어떤 것을 보내도 상관이 없다는 뜻이라고 거의 99%의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이 글만 봐서는 F가 D나 U ..
-
5G Resource Allocation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5. 21:23
5G Resource allocation은 LTE와 비교했을 때, 효율적이고 빠르게 자원 할당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짧은 글로는 모든 내용을 담을 수는 없겠지만, Resource Block (RB) / CBW / BWP / CRB / PRB같은 5G 문서에서 많이 언급되는 용어들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Resource Element (RE) / Resource Block (RB) / Resource Grid 통신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대역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남들과 나눠서 사용할 수 있을지를 다루는 개념들이 필요하다. 주파수 대역을 Time축과 Frequency 축으로 나눈 2차원 Time-Frequency Plane에서 Time과 Frequency 축을 최소단위들로 나눈다. 즉, 아래 그림에서 ..
-
5G Basic Principle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5. 21:21
이번 글부터는 대략적인 통신 용어는 알고 있다는 가정하에, 한 단계 더 깊에 5G 기술들에 대한 리뷰를 진행할 예정이다. 5G RAN을 구성하는 New Radio (NR)은 LTE와 비교했을 때, 많은 부분에서 변화가 있었다. 본 글에서는 LTE와 비교했을 때 어떤 철학을 가지고 설계가 되었는지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NR은 기본적으로 ‘Low Latency’와 ‘Ultra-Lean’에 초점이 맞춰져서 설계되어있다. 5G는 지연시간이 짧으면서, 필요에 맞는 프로토콜만 유연하게 제공하자는 철학이 담겨있다. 5G의 Ultra-lean 철학 5G에서는 여러 Case를 나눠서 설계가 조금 까다로워져도, 각 UE의 상황에게 맞는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하자는 철학이 들어가 있다. 이 말만 들어서는 몹시 추상적으로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