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기술동향/2차전지 & 반도체
-
반도체 후공정 계측 장비 (RDL, Warpage, TSV)최신 기술동향/2차전지 & 반도체 2025. 1. 21. 10:42
1) RDL CD 측정 RDL(재배선층, Redistribution Layer)은 반도체 칩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금속 와이어와 절연층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칩의 입출력(I/O) 패드를 재배치하거나 확장하여, 더 작은 크기의 칩에 더 많은 연결 단자를 제공하거나 특정한 패키징 형식에 맞게 배선을 조정하는 데 활용됨. (후공정에 많이 활용됨) 주요 공정 단계는 다음과 같음. 1) 절연층 형성: 칩 표면 위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배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함. 2) 배선 패턴 형성: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해 배선을 형성할 패턴을 만듦. 3) 도금 및 증착: 구리(Cu)와 같은 전도성 물질을 증착하거나 도금해 배선을 만듦. 4) 패턴 제거: 불필요한 도전성 물질을 제거해 원하는 배선 패턴을 남김. RDL에서..
-
[반도체 스타트업 논문 리뷰 2] FuriosaAI최신 기술동향/2차전지 & 반도체 2024. 8. 24. 10:59
이번에 스터디할 논문은 "TCP: A Tensor Contraction Processor for AI Workloads [1]"로 퓨리오사에이아이에서 ISCA 2024에 Publish 한 논문이다. 퓨리오사가 출시한 1세대 NPU는 비전인식에 최적화된 Chip이라고 볼 수 있고, 이번에 내놓는 2세대 NPU는 조금 더 범용적인 application에 적용이 가능하다. Tensor Contraction Processor (TCP)로 기술적 Concept을 함축한 이 칩은 Tensor Contraction (축소) 과정에서 '병렬화'와 'Data Locality'를 이용하며, Compute Unit들의 Data reuse (속도가 느린 메모리에 자주 접근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주 쓰는 데이터는 빠른 ..
-
[반도체 스타트업 논문 리뷰 1] HyperAccel최신 기술동향/2차전지 & 반도체 2024. 8. 17. 20:12
Paper Title: "LPU: A Latency-Optimized and Highly Scalable Processor for Large Language Model Inference" [1] 최근 국내 AI 반도체 팹리스 사피온과 리벨리온의 합병이 VC 업계에서 큰 화두다. KT의 선택을 받은 리벨리온과 SKT의 선택을 받은 사피온의 합병이라는 측면에서도 주목을 끌지만, 팹리스 사이에서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되었다는 점에서도 눈길을 끄는 것 같다. 사피온, 리벨리온, 퓨리오사, 딥엑스 등 AI 반도체 팹리스 스타트업들이 수천억의 Value로 수백억의 투자금을 유치하며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당장 매출이 많이 나오지 않더라도, 기술력이 높은 평가를 받아 각각의 스타트업들이 수천억의 Value를 인정받았..
-
[논문리뷰] E‑TUBE: dielectric waveguide cable for high‑speed communication (포인투테크놀로지)최신 기술동향/2차전지 & 반도체 2024. 6. 1. 09:04
이번에 리뷰할 논문은 "E-Tube"라는 부도체 기반 케이블의 Concept과 성능에 대한 정리를 해놓은 네이처의 논문이다. [1] VC를 시작한 이후로 통신 관련 논문 리뷰는 거의 하지 않았지만, 투자하고 싶었던 스타트업의 원천 기술을 다룬 논문이어서 짧게 리뷰해보고자 한다. Microsoft, Amazon, Oracle 등 글로벌 업체들이 AI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센터에 끊임없이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아마존은 '27년까지 약 20조 원, Oracle는 10년간 약 11조 원의 데이터센터 Capex 투자를 일본에서 집행하겠다고 발표했다. [2] 이처럼 데이터센터에 대한 Capex 투자가 늘어나면, Nvidia의 H100 같은 AI 반도체를 공급하는 업체, 케이블이나 스위치 같은 부품/장비를 공급하는 ..
-
반도체 후공정 정리 (패키징)최신 기술동향/2차전지 & 반도체 2024. 2. 11. 18:33
AI를 위한 반도체 산업이 성장하면서 반도체 생산 공정의 산업에도 지각 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기존의 생산 공정은 파운드리나 IDM (종합반도체회사)에서 반도체 칩을 생산하고, OSAT (후공정) 업체에 칩을 넘기기면 테스트 및 패키징을 해서 고객에게 공급되는 구조였다. 하지만, AI를 위한 반도체는 메모리 용량, I/O 속도 등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성능을 요구했고, 기존 후공정 기술 만으로는 이를 커버하기 힘들어졌다. 이런 흐름 속에서 전공정의 기술들이 후공정에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며, IDM들도 후공정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후공정의 기본적인 용어 정리부터 최근 공정 트렌드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전체적인 내용은 SK하이닉스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같이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
-
차량용 반도체 종류와 시장 동향최신 기술동향/2차전지 & 반도체 2023. 5. 29. 17:25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023년 5월 10일 (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에 있는 삼성전자 북미 반도체연구소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만났다. 메모리 사업에 강점이 있는 삼성전자지만, 새로 진입하는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논의를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시장조사 업체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글로벌 전장 부품 시장은 2024년 약 520조 원, 약 910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현재까지는 내연기관 자동차만 있던 시기부터 차량 반도체 부품을 생산하던 NXP, Infineon, Texas Instrument 등의 점유율이 높지만, 최근 급성장하는 시장 흐름 속에서 기술력을 바탕으로 많은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기존 차량 반도체 업체들도 오랜 기간 쌓아..
-
2차 전지 (리튬전지) 기본 원리와 Value Chain최신 기술동향/2차전지 & 반도체 2023. 5. 9. 21:27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전기차 관련 뉴스가 쏟아지고 있다. 전기차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배터리이기 때문에, 국내 기업 배터리 3사 (삼성 SDI, SK 온, LG 에너지솔루션)의 공장 증설 및 기업 전략 등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뉴스가 '2차 전지'의 필요성만을 강조할 뿐, 어떤 식으로 배터리가 작동하고 이와 관련된 Value Chain이 어떻게 되는지 분석한 내용들은 많지 않다. 이번 글에서는 2차 전지가 어떤 원리로 작동하고, 어떤 산업이 있을지 정리해보려 한다. 2차 전지는 구성 요소에 따라 납 축전지, 니켈계 2차 전지, 리튬계 2차 전지로 나뉘지만, 최근 주목받는 전기차의 2차 전지로 사용되는 2차 전지는 리튬이온 배터리다. 뒤에서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