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5G Dual Connectivity (DC)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6. 07:10
Dual Connectivity (DC) DC는 1개의 UE가 두 개이상의 Network Point와 연결되어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기술을 말한다. DC는 5G에서 들어오면서 정해진 기술은 아니고, LTE의 Rel-12에서 부터 언급된 개념이지만, 5G로 넘어오면서 이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일단 LTE기준으로 DC를 조금 더 설명하자면, DC에서 기지국은 Master eNB (MeNB)와 Secondary eNB (SeNB)로 이루어져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MeNB와 SeNB는 각자 다른 Scheduler를 사용해서, Radio Resource를 제공할 수 있다. 느낌상 양쪽에 연결되어 있으면 좋은건 알겠는데 정확히 뭐가 좋은지를 한 번 알아보자. 1. Mobility를 고려했을 때 좋다. DC는 ..
-
5GC System Architecture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6. 07:09
이번 글부터는 5GC의 전체적인 구조도부터 시작해서, 구조도를 이루는 각 NF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다룬다. 일단 큰 그림의 System Architecture부터 보도록 하자. 5GC의 System Architecture (SA) 위 그림이 5G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구조도다. 이전까지 정리했던 부분은 UE와 NG-RAN이었고, 그 뒤를 연결하는 Core Network에 이렇게 많은 네트워크 기능들이 있다. 하지만, NG-RAN처럼 자원할당이나 물리적 채널 상태확인 같은 역할을 직접 수행하지는 않기 때문에, 개념적으로는 더 받아들이기 쉬울 것이라 생각한다. 크게 보면, 위쪽에 있는 C-Plane에서 UE의 Mobility, Authentication 같은 기능을하고, U-Plane인 UPF를 통..
-
5GC Principle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6. 07:08
Cellular Network의 구조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UE - gNB 사이의 통신망인 NG-RAN gNB - Core 사이의 구조, 5GC NG-RAN은 우리가 5G NR에 대해서 정리할 때 사용한 Layer 1, 2, 3에 대한 Protocol들이 대부분 NG-RAN에 속한다. 어느 정도는 정리가 되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번 페이지부터는 5GC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도록 한다. NG-RAN의 역할 NG-RAN의 역할에 대해 다시 한 번 언급하자면, 다른 Cell과의 Radio Resource 관리 Resource Block (RB) 관리 (쉽게 말해서 Cell 의 주파수 자원관리) Mobility Connection 관리 (Handover 관리) Channel 상태 파악과 정보 제공 스..
-
5G NR Initial Access 및 Random Access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6. 07:06
이번 글에서는 UE가 특정 Cell로 처음 들어왔을 때의 과정 Initial Access에 대해 정리한다. LTE에서도 Initial Access을 다뤘는데, 그 글과 비교를 하면서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절차나 기능이 크게 바뀌지는 않지만, 세부적인 Parameter들이나 기술들에 변화가 있다. 5G NR Initial Access LTE처럼, UE가 Cell에 들어오면, Cell과 시간-주파수를 동기화 시키는 것부터 시작해야한다. NR에서는 Primary / Secondary Sync signal (PSS/SSS) PBCH를 Decoding하기 위한 PBCH-DMRS MIB 등의 정보를 Broadcast하는 PBCH 를 묶어서 Synchronization signal / Broadcast Bloc..
-
5G Downlink Control Indicator (DCI)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6. 07:05
LTE나 NR의 표준화문서를 보면, 가장 자주나오는 용어 중 하나가 DCI다. DCI가 무엇인지, NR에서는 어떤 DCI가 있는지에 대해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DCI는 gNB가 데이터를 '언제/어떻게' 보낼지에 대한 Scheduling 정보나 추가 지시사항들을 받아서 UE가 Decoding에 사용하기 위한 정보가 담겨있다. 즉, 기본적으로는 Frequency/Time 축에서 Scheduling이 어떻게 되어있고, 어떤 Modulation을 사용하였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시나리오에 맞는 Power Control에 대한 정보, CSI-Report 요청, CQI-Report 요청 같은 다양한 정보들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Case를 나눠서, 어떤..
-
5G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6. 07:04
DCI를 설명하면서,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는 용어를 설명했었다. Identifier (ID)는 다른 객체와의 구별을 위한 고유번호라는 뜻이다. 그러면, RNTI는 어떤 객체와 구별을 하기 위해 사용되고, 어떻게 사용되는걸까? RNTI는 Cell 안에 있는 UE 간의 구별, Group의 구별, gNB에서 보낸 System Information 등의 구별을 위한 16bit짜리 ID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Rx는 Scrambled된 Bit를 De-Scrambling하고 RNTI를 확인하여 자기한테 온 Message인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쉽게 말하면, RNTI는 Channel의 특성과 시나리오에 맞게 PHY layer에서 Scrambling되는 값이..
-
5G NR의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e)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6. 07:03
논문이나 통신 관련 문서를 읽다보면 Reference Signal이란 말이 많이 나온다. Reference Signal (RS)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Transmitter에서 쏘는 미리 정의된 신호인데 주로 'Channel 추정'을 위해 사용된다. CSI-RS은 gNB가 User에게 쏘는 Downlink Channel로 전달되는 RS고, 거꾸로 User에서 gNB로 쏘는 Uplink Channel로 전달되는 RS인 SRS가 있다. LTE인지 NR인지에 따라서 어떤 RS가 정의되어있는지가 달라지는데, LTE 초기에 사용되던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RS)를 NR에서는 CSI-RS, SRS, DMRS, PTRS 4가지 종류로 나눴다. CSI-estimate & Report..
-
5G Layer 3 - Overview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7. 6. 07:02
마지막으로 다뤄볼, Layer 3는 RRC와 NAS라는 Sub-Layer로 구성되어 있다. Layer 3는 Data를 실제로 주고받기 위한 U-Plane에 대한 Protocol이 아니라, Control Signal을 주고받는 C-Plane으로 구성되어있다. RRC Layer에서는 UE-gNB간의 하위 Layer Interface에 필요한 Radio Resource Control을 담당하고, NAS Layer에서는 UE-Core Network간의 Signaling을 담당하게 된다. 각 Sub-layer의 역할로 한 단계 더 들어가보자. RRC Layer RRC Layer는 아래쪽 2계층, 1계층의 Resource Allocation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UE가 gNB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