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Artificial Intelligence (AI)의 시작최신 기술동향/인공지능 (AI) 2020. 7. 7. 10:10
2016년 3월 9일, 무한대에 가까운 경우의 수를 가진다고 알려진 바둑에서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기는 장면이 전 세계로 생중계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사실에 경악했으며, 이 사건을 기해, 인공지능의 새로운 전성기가 시작되었다. 컴퓨터과학이나 통계의 전공자들 뿐 아니라,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기술을 정리해놓은 글과 책들이 수 천편씩 쏟아져나왔고, 이들이 사용하기 쉬운 여러 플랫폼, Tool들도 공개되고 있다. 삼성에서는 AI를 전공하는 석,박사급 인력을 1년에 몇 백명씩 채용하는 등, AI를 아는 것만으로도 큰 Advantage를 갖게된다. 내가 속해있는 전기전자공학과는 관련 과목을 조금씩 열기는 하지만, 이를 이론적으로 이해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Coursera나 여러 책들을 찾..
-
Vehicle to Everything (V2X)5G & 6G 통신 기반 기술/LTE Communication 2020. 7. 7. 10:07
자율주행은 여러가지 기술들이 복합적으로 필요하다. 이미지센서를 이용해 상황을 판단하는 컴퓨터 비전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 외부의 상황을 통신을 통해 받는 V2X 기술, 확보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차량을 제어하는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되어야 한다. 이 문서에서는 인공지능 기술, V2X 기술을 다룰 예정이다. Vehicle to Everything (V2X) V2X는 차량과의 Everything과의 통신이다. 즉, V2I는 차량과 Infrastructure (신호등), V2V는 차량과 차량, V2P는 차량과 Pedestrian (보행자)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하지만, 자율주행에 가장 필요한 기술은 V2V 즉, 차량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어져야 차량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
-
Channel Coding5G & 6G 통신 기반 기술/통신 및 네트워크 개념 2020. 7. 6. 08:00
Channel Coding Tx에서 Rx로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에서, Channel의 상황에 따라, bit에 Error가 생길 수 밖에 없다. 이 때, Error를 Detection (검출)하고, Correction (정정)해서 원래 보내려고 했던 Data (bit)를 복구하기 위해 진행하는 절차를 Channel Coding이라 한다. Channel Coding에서는 Transmission Power와 Bandwidth 소모를 최소로 하면서, Decoding 확률을 높이고, 시스템의 Complexity를 최소로 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제안되 었다. 기본적인 구조는 우리가 보내려고 했던 기존 bit들에 Error를 Detecting하고 Correction하기 위한 추가 비트를 붙이고 Encoding..
-
LTE Network의 Initial Access 절차5G & 6G 통신 기반 기술/LTE Communication 2020. 7. 6. 08:00
5G의 Initial Access를 다루기 전에, LTE의 Initial Access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특히, 현재의 Non-StandAlone 5G 시스템에서는 LTE도 큰 역할을 차지하기 때문에도 그렇고, 5G의 Initial Access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LTE의 기본 구조를 알고 있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LTE Cell Search & Selection Initial Access는 처음 전원을 켜서 망에 접속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딱 전원을 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자신과 통신이 가능한 Cell을 찾고 정보를 가지고 오는 것부터 시작하는데, 이걸 Cell Search라고 한다. 스마트폰을 사면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
통신의 기본 개념5G & 6G 통신 기반 기술/통신 및 네트워크 개념 2020. 7. 6. 08:00
Channel Tx에서 신호를 만들어서 Rx로 보내면 그 가운데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Channel이라 한다. 즉, Channel 상태가 좋지 않으면 빌딩같은 장애물이 많거나, 다른 UE와의 간섭이 심한 상황으로 같은 Power로 전송을 하더라도, SINR값이 낮게 나올 수 밖에 없다.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처럼 끝이 CH로 끝나면 대부분이 Channel을 나타낸다. Channel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 중 Large-scale Fading과 small-scale fading이 있다. DL/UL Downlink (DL)은 BS에서 UE로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으로, Download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Uplink (UL)은 UE에서 BS로 메시지를 보..
-
망 중립성5G & 6G 통신 기반 기술/통신 및 네트워크 개념 2020. 7. 6. 08:00
망 중립성이라 함은 통신사가 유튜브, 아프리카 TV같은 콘텐츠 제공 사용자(CP)와 다른 이용자에게 평등하게 통신망을 공급해야한다는 의미다. 얼핏 듣기로는 몹시 당연하고, 이게 논란의 여지가 된다는 사실이 이해가 안 갈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 트래픽이 폭증하는 시대 그리고, 5G 시대에서는 이 개념이 큰 이슈를 낳을 수 있다. 먼저, 망 중립성은 원칙적으로 통신사가 데이터의 내용이나 양에 따라서 User에게 다른 데이터 속도, 망 이용료를 주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통신사와 CP의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각자의 입장에서 이를 얘기해보고자 한다. 통신사 입장에서는 막대한 금액을 쏟아부어서, 5G망에 투자를 했다. 앞서 말한 주파수 할당 비용, 5G 기지국을 전국에 세우는 비용 등 초..
-
3GPP의 Cellular vs IEEE의 Wi-Fi5G & 6G 통신 기반 기술/통신 및 네트워크 개념 2020. 7. 6. 08:00
통신의 생태계 카페에서 와이파이에 접속하려고 보니 2.4G, 5G라고 옆에 쓰여있다. 5G는 요새 광고에 나오는 5세대 이동통신인가? 2.4G는… 2.4세대…? 우리가 카페에서 자주 사용하는 Wi-Fi와 우리가 스마트 폰을 바꾸러 가면 매일 듣는 5G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현재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통신은 크게 IEEE 진영의 802.11 시리즈인 Wi-Fi와 3GPP 진영의 이동통신 (Cellular communication)인 4G나 5G가 있다. 추가적으로, Zigbee나 Z-Wave, LoRa 등도 있지만, 이런 통신 프로토콜은 추후 Internet of Things (IOT / 사물인터넷)에서 따로 다루도록 한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Wi-Fi와 이동통신에만 초점을 맞..
-
OFDM 및 Resource Allocation5G & 6G 통신 기반 기술/통신 및 네트워크 개념 2020. 7. 6. 08:00
Resource Allocation Resource Allocation (자원할당)은 말 그대로 시스템 전체적으로 주어진 자원을 나누는 과정이다. 대표적인 자원으로는 주파수 자원, power 자원, 컴퓨팅 자원 등이 있다. 무선 통신은 주파수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는데, 동시에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면, 서로의 메시지에 간섭이 생겨서, Rx에서 decoding을 하지 못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누가 주파수를 먼저, 얼마나 사용할지 등을 스케쥴링 하는 과정을 주파수 자원할당이라 한다. 이와 함께 파워 할당문제가 생긴다. 보통 강한 출력의 Power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Throughput (전송속도)과 Coverage (전송거리)가 올라간다. 하지만, 먼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