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G
-
Neural Processing Unit (NPU)의 기술 및 시장 동향최신 기술동향 2021. 10. 9. 12:57
Autonomous Vehicle, Smart Factory 등 급부상하고 있는 핵심 산업에서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기술은 AI라는 것은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CNN 기반의 이미지 처리, 비디오 분석 등의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실시간 상황 판단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사업에 적용되고 있으며, RNN을 기반으로 하는 Attention[1]과 Transformer 등의 AI 구조 등이 연구되면서, BERT, GPT 등의 AI 모델들이 자연어처리 (NLP)에 사용되고 있다. 2020년에 OpenAI에서 Arxiv에 공개한 GPT-3 [2]는 놀랄 정도의 언어 구사력을 보여주며, 자연어처리 연구에 힘을 실어주는 역할을 했다. 이 밖에도, AI를 통신에 적용하는 연구들, AI로 단백질의 패턴을 ..
-
Meta-Learning Based Beamforming 논문 리뷰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1. 9. 21. 16:11
인공지능 카테고리에 Meta-Learning에 대한 글 [1]을 정리하면서, 환경이 급변하는 여러 Domain에 Meta-Learning이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글을 시작하고 맺었다. 이번 글에서는 여러 Use cases 중에 '5G/6G'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여러 논문 중에 고민을 하다가, 5G의 대표 기술 중 하나인 Beamforming을 다루면서, 저자들도 IEEE Fellow 다수로 이루어진 논문 [2]이 있어서 이를 소개해보려 한다. mmW에서 주로 사용되는 Beamforming은 대표적으로 Channel이 급변하는 환경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Meta-Learning이 적용될 여지가 충분해 보인다는 점 또한 이 글에서 다루는 요인 중 하나다. 제목: Transfe..
-
Continual Learning의 원리와 연구 Trend최신 기술동향/인공지능 (AI) 2021. 9. 17. 19:19
Machine Learning을 5G/6G 통신이나 Image Processing 등 여러 Domain에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AI를 적용했다의 의미를 넘어서, 실용성이 있기 위해서 넘어야 하는 허들이 몇 가지 있다. 그 중 한 가지가, 바뀌는 환경에 잘 적응을 해야한다는 점이다. 바뀌는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지 못하는 AI 모델은 사용자 입장에서 불안해서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Inference 이후에도, 계속 주어진 Dataset으로 Train을 하는 Online-Learning, 주어진 환경에 맞게 Fine Tuning하는 Transfer Learning 등 다양한 Approach 등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중에, Transfer Lear..
-
Mobile Access Edge Computing (MEC) - 3GPP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1. 9. 12. 11:49
이번 글에서 다룰 내용은 5G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Mobile Access Edge Computing (MEC)다. 한 마디로 쉽게 설명하면, '단말에서 Server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Cloud Computing의 개념에서 Server를 User의 가까운 곳에 전지 배치시키겠다'는 내용이다. 한국의 무선의 RAN에서 아무리 ms 단위로 자원을 할당해도, 이를 미국의 Server로 보내는 유선 구간에서의 Delay가 커지면 무용지물일 것이다. 따라서, UE의 가까운 곳에도 Server를 배치할 필요가 있게 되었고, 이를 통신사업자망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붙일지에 대한 논의가 3GPP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앞서 소개한 바에서 볼 수 있듯이, MEC는 다른 글들에서 다뤘던 Radio Access..
-
5G 시대에 등장한 Global Startup 분석투자 및 기업분석 2021. 8. 27. 21:22
2019년 4월 3일, 한국의 스마트폰 5G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2년의 시간이 지났다. 5G로 인해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얘기하던 광고와 뉴스에 비해, 현재의 소비자들은 큰 변화를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 평소에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서비스라고 해봤자 보통은 카카오톡, 유튜브 정도이기 때문에 큰 변화는 실감하기 힘들 수 밖에 없다. 더 나아가, 5G를 지원하는 기지국 수도 적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제대로 된 5G 서비스를 제공받기 힘들어보인다. 이런 점들이 친구들이 무슨 일 하냐고 물어볼 때, 5G/6G 연구를 한다고 하면, 괜히 욕을 먹는 이유라고 생각한다. 그러면 5G는 이렇게 욕만 먹는 기술로 끝나는 걸까? 개인적으로, 제대로 된 5G가 사용될 환경이 만들어지지 않았을 뿐이지, 5G를 통한 여..
-
Google AI Blog(논문) 리뷰: SoundStream (An End-to-End Neural Audio Codec)최신 기술동향/인공지능 (AI) 2021. 8. 14. 11:24
AI에 대해 독보적인 기술력을 갖고있는 Google은 AI을 이용한 다양한 자사의 연구내용을 소개하는 Google AI Blog [1]를 운영한다. 이번 글에서는 Google AI Blog에 올라온 기술 중에 가장 최신인 Neural Network (NN)를 이용한 Audio Codec에 대해 분석하고 소개하고자 한다. 기술에 대한 원문은 논문 [2]으로도 공개가 되어 arxiv에 올라와 있다. Codec은 보통 Encoding / Decoding을 합친 표현으로 송신단에서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고, 수신단에서 압축된 데이터를 통해 원래 데이터로 복구하는 프로토콜이다. 즉, 무선이든 유선이든 특정 네트워크를 통과해서 전달이 되어야하기 때문에 Multi-user가 해당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상황에서는 적은..
-
EETimes Review - Marvell Scoops Up Innovium for $1.1B투자 및 기업분석 2021. 8. 10. 09:10
이번 글에서는 Marvell이 Innovium을 인수했다는 내용의 EETimes의 기사 [1]에 대해 리뷰해보려고 한다. 평소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조사를 하지 않으면 Marvell이라는 기업이 생소할 수 있을 것 같다. Marvell Technology 그룹은 Data Center부터 Network Core, RAN에 필요한 반도체 전반을 생산하는 업체다. 앞서 소개한 통신 용어들로 설명하자면, 단말에서 서버로 이어지는 E2E 파이프라인에서 단말을 제외한 네트워크 인프라에 필요한 반도체들을 취급하는 기업이다. 기지국에 들어가는 Massive MIMO, Ethernet Switch, Storage (e.g. SSD, HDD) 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넓은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Innovi..
-
메타버스 관련 기술과 투자동향 (2)카테고리 없음 2021. 8. 7. 16:03
이전 글에서는, 가상 세계로 들어가기 위한 하드웨어와 이를 구성하는 부품 등에 대한 소개를 했다. 소개한 Nvidia, Oculus, Qualcomm 등의 기업에서 앞으로 열심히 연구를 해서 더 좋은 spec.의 기기가 출시되면, 사용자들은 더 좋은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런데, 한 가지 문제가 있다. 서비스를 체감할 좋은 기기는 준비가 되었는데, 좋은 서비스가 없으면 VR 기기는 멋있는 장식품에 불과할 것이다. VR에 특화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개발 플랫폼이 필요하고, 이렇게 완성된 서비스가 올라가 있는 서버와 단말 사이를 이어주는 통신/네트워크 파이프라인이 필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에 대해 언급을 함으로써, 단말 - 통신/네트워크 - 서버로 이어지는 메타버스의 투자 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