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SK 스퀘어 포트폴리오 분석 (2) - 온마인드투자 및 기업분석 2022. 1. 26. 18:50
이번에 생각해 볼 SK 스퀘어의 두 번째 투자 포트폴리오는 디지털 휴먼 '수아'를 제작한 온마인드다. SK 스퀘어는 2021년 말, 온마인드에 80억을 투자하여, 40%의 지분을 확보한다고 발표했다. 온마인드는 2020년 초에 설립되어, 같은 해 11월에 카카오게임즈의 자회사 넵튠의 자회사로 15억에 인수된 기업이다. 이번 글에서는 사이버 가수 아담, 가상 모델 로지 등과 어떤 차별점에서 신생 기업 온마인드가 넵튠과 SK 스퀘어의 투자를 끌어낼 수 있었을지 생각해보려 한다. 최근, 온마인드는 SK 스퀘어의 투자와 실존하는 연예인이라고 해도 믿을 정도의 자연스러운 인스타그램 사진들 덕분에 많은 기사에서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가상인간의 자연스러운 사진과 동영상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고, 어떤 기술..
-
SK 스퀘어 포트폴리오 분석 (1) - 코빗투자 및 기업분석 2022. 1. 23. 10:48
이번에 리뷰하는 IT 투자 관련 내용은 SK스퀘어의 코빗 투자 건이다. 작년 말, SK 스퀘어가 SKT에서 투자 기업으로 독립한 이후, 처음으로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에 900억 원을 투자하여 지분율 약 35%의 2대 주주가 되었다. 그렇다면, '코빗'은 무엇을 하는 기업이고, SK 스퀘어는 왜 많은 기업 중에 '코빗'에 투자했는지 생각해 보자. 코빗은 2013년에 설립된 한국 최초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비트코인을 포함해 다양한 암호화폐의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7년 넥슨의 지주사인 NXC에서 코빗의 65% 지분을 인수했었는데, 이 때도 말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암호화폐 거래소 시장이다 보니, 암호화폐가 폭등해서 주목을 받을 때는 높은 value를 인정받을 수 있지만, 2018년처럼 암호화..
-
SeqNet: AI-based PAPR Reduction scheme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2. 1. 22. 10:00
이번에 리뷰할 논문은 작년 12월 7일에 2021 Globecom workshop session 14 : Emerging Topic in 6G communication [1]에 발표된 내용이다. 이번 Globecom에서도 많은 논문들이 발표되었기 때문에, 아카이브 또는 Xplore에서 찾아서 한 번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Title: SeqNet: Data-Driven PAPR Reduction via Sequence Classification 저자: Hyeondeok Jang, Seowoo Jang, Yosub Park, Jungsoo Jung, Juho Lee, and Sunghyun Choi, Samsung Research 발표 학회: 2021 Globecom workshop - Emerging ..
-
Edge Impulse - Embedded ML platform startup투자 및 기업분석 2021. 12. 11. 10:55
이번에 정리할 해외 스타트업은 Edge Impulse [1]다. EETimes에 소개된 내용 [2]을 보고, 관심이 생겨서 추가적으로 조사를 해보고 정리를 했다. Edge Impulse는 7개월 전에, Series A로 $15M를 Funding 받고, 12월 9일, Series B로 $34M를 투자받아, 약 $234M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Edge Impulse는 Edge Device (단말)에서 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자를 위한 Platform을 제공한다. Mobile device (e.g., 스마트폰)에 GPU, NPU 등이 탑재되고 있고, 모듈의 Compute capa.도 점점 좋아지고 있기 때문에, Edge device에서 ML 알고리즘을 돌릴 여지는 ..
-
Nimble: Parallel GPU Task Scheduling for DL - NIPS 논문 리뷰최신 기술동향/인공지능 (AI) 2021. 11. 13. 19:46
최근 AI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Deep Learning (DL)은 기본적으로 정확도와 연산량이 Trade-off를 갖기 때문에, GPU 등 병렬처리가 가능한 Hardware를 사용할 때, 진가를 발휘한다. 요즘은 CUDA 같은 GPU 병렬처리 라이브러리와 이를 이용한 Tensorflow-GPU 버전이 사용하기 쉽게 되어 있어서, GPU를 직접 Contorl하지 않아도, GPU를 이용해서 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돌릴 수 있다. 하지만, DL이 이용되는 시스템을 설계함에 있어서, 알고리즘이 돌아가는 GPU에서 어떤 스케쥴링과 동작이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GPU 스케쥴링에 대한 논문은 많지만, 그 중 첫 번째로, 작년 NIPS에서 발표된 DL을 위한 Pa..
-
메타버스를 위한 XR 비디오 표준 (MPEG-I/MIV)최신 기술동향 2021. 11. 13. 09:44
최근 IT 관련 뉴스 및 보고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메타버스는 AR, VR 기술이 더해짐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에 더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글에서는 AR, VR에 필요한 5G, 6G 기술에 대해 정리를 했고, 이번에 정리할 기술은 AR, VR, XR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만들어진 비디오 표준기술 MPEG-I 및 MPEG-Immersive Video (MIV)다. Cellular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을 표준화하기 위해 3GPP가 있다면, 비디오와 관련된 표준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이 있다. MPEG에서는 비디오 압축 기술을 중점으로, 비디오가 전달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비디오 관련 표준을 정의한다. MPEG과 관련된 예시로, Ne..
-
NFT와 메타버스의 연결 및 IT 기업 동향최신 기술동향 2021. 11. 7. 10:06
저번 글 [1] 에서는 NFT의 대략적인 개념을 설명하며, 디지털 예술품 원본 인증에 사용되고, 최근에는 메타버스에서의 소유권 인증에도 사용되고 있음을 소개했다. 지난 10월 AR/VR Connect Conference에서 페이스북이 사명을 '메타'로 바꾸겠다고 선언하는 등, 메타버스에 대한 열기가 올라오면서, NFT와 관련된 가상화폐들도 몇 배씩 폭등했다. 이번 글에서는 NFT가 메타버스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현재 IT 기업들의 동향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메타버스는 '가상세계'를 뜻하는 이름으로, AR/VR 기기 등의 고사양 단말을 사용한 구현과 PC/모바일 등의 기존 제품을 이용한 구현 모두 가능하다. 페이스북에서 각 잡고 만드는 VR 기기인 오큘러스 퀘스트 등의 기기 등으로..
-
Non-Fungible Token (NFT)의 개념과 견해최신 기술동향 2021. 11. 6. 10:40
Blockchain 기술을 이용한 가상화폐들이 주목받으면서, 시장을 흔들었던 시기 이후로, 벌써 몇 년의 시간이 지났다. 그 동안 시장이 성숙해나가면서, 확실한 Use case나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는 코인들이 퇴출되기도 하지만, 아직도 새로운 유행을 타고 생겨나는 코인들이 투기처럼 폭등하는 것을 보게된다. 몇 일 전에는, 최근 넷플릭스를 통해 화제를 모은 '오징어게임' 프로젝트에 사용될 거라고 홍보한 코인이 폭등하자, 코인의 개발자들이 약 24억을 들고 잠적하는 사건도 있었다. [1] 뚜렷한 기술적인 비전이나 철학보다는, 유행에 편승하는 '밈코인'이 폭등하기도 하고, 테슬라의 창업자 일론 머스크의 한 마디에 가상화폐 시장이 흔들리곤 한다. 이런 일을 볼 때마다, 코인의 기존 통화 대체 가능성에 대한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