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
5G 관련주 분석(1) - SK텔레콤투자 및 기업분석 2021. 5. 16. 15:24
SK텔레콤은 1984년 설립된 기업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SKT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무선통신사업 (MNO)', '유선통신사업', '보안사업', '커머스사업'으로 나뉜다. 2021년 3월 발표한 실적발표에 따르면 4가지 사업부문 모두 꾸준한 매출성장을 이뤘다. 1) 무선 통신 사업은 4G/5G 등 이동통신 서비스를 통해 얻는 수익 사업을 말한다. 우리가 스마트폰을 사면서, 요금제를 가입하고 월 요금을 납부하는데, 이 때의 요금제 사업 또한 무선 통신 사업이다. 기업의 수익성 및 성장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영업수익'의 측면에서 보면 작년 약 1조 8천억원의 영업수익 중 1조 3천억원, 약 72%가 무선통신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이다. 5G가 2019년 상용..
-
5G 관련주 분석 및 기업분석투자 및 기업분석 2021. 5. 16. 10:26
이 블로그는 주로 5G/6G의 표준화 동향 및 논문분석과 AI 기술정리 등 Engineer들이 즐겨볼만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매우 공대스러운 주제로 글을 쓰고 있지만, 평소에는 기술의 파급효과 및 수익성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대학원 에 있을때나 현재 관련 연구를 할때도, 논문을 위한 논문을 쓰는 것보다는 특허화가 가능한 기술들, 시연이 가능한 기술들이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카테고리에서는 통신과 AI에 관심있는 Engineer들이 볼만한 한글 블로그를 만들어보자는 기존 취지에서 살짝 벗어나지만, 실제로 이런 기술들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해 분석하는 글도 써보고자 한다. 해당 기업에서 집중하고 있는 기술에 대해 고민해보고, 기업의 재무제표도 정리한다. 전자공시시스템 dart..
-
AI 알고리즘 경량화최신 기술동향/인공지능 (AI) 2021. 5. 1. 08:25
AI를 활용한 다양한 Application이 등장하며, 각 Application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알고리즘도 등장하고 있다.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를 향상하기 위해, '어느 context에 집중해서 봐야하는지'를 알려주는 Attention 알고리즘, 이를 CNN로 확장시키기 위한 Convoulution Bottleneck Attention Module (CBAM) 등 다양한 알고리즘이 파생되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평가지표는 Accuracy 및 NMSE값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점점 복잡한 모델들이 등장하고 있다. 많은 GPU를 사용해서 Dataset을 병렬로 처리한다면, Train도 빠르게 될 것이고, Train된 모델을 기반으로 In..
-
[Book Review] 호모데우스책 리뷰 2021. 4. 25. 14:36
Homo(인간) + Deus(신)이라는 제목의 이 책은 '사피엔스'로 유명한 유발 하라리의 글이다. 2017년 출판되어, 이미 꽤 많은 사람들이 읽어봤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재밌게 읽은 책 중 하나이기 때문에 새삼스레 리뷰를 하게 되었다. 전작인 '사피엔스'가 인간의 본성과 종교를 연계하여, 역사에 대해 다뤘다면, 호모데우스에서는 '기술'에 초점을 맞춰서 앞으로 일어날 '미래'에 대한 견해들이 많다. 즉, '신이 된 인간들'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다소 심오한 주제를 다룰 것 같은 이 책은 신기술을 장착한 인류가 맞닥뜨릴 이슈들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미 많은 책들이 '기술 트렌드'를 다루고 있지만, 이런 서적들이 기술과 이로 인한 경제적인 효과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 책은 '기술과 종교..
-
Hyper-Parameter Tuning 및 AutoML 논문 리뷰최신 기술동향/인공지능 (AI) 2021. 2. 6. 08:27
AI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이 있다면, 충분히 많은 AI 논문 알고리즘에 대한 논문과 관련된 코드들을 찾아 볼 수 있다. 기존 Machine Learning 알고리즘, Neural Network 기반의 알고리즘 등 다양한 알고리즘을 자신의 Application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Tool들이 있다. 하지만 새로운 Application이나 논문 주제를 위해 시뮬레이터를 설계하려고 하면, 기존의 알고리즘을 그대로 가져다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ML 모델을 적용해야한다. 참고 자료에서 Node 갯수는 몇 개가 좋으며, Dropout은 얼마나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Hyper-parameter에 대한 고민, CNN을 쓰는 것이 맞는지, 얼마나 깊게 쌓아야할지 등 Architecutre에 대한..
-
AI 기반 Cellular Communication 기술 동향 리뷰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11. 24. 08:39
이번 글에서는 AI 기반의 Cellular 통신에 대해 어떤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정리한 ETRI의 전자통신동향 분석자료를 리뷰해보고자 한다. ETRI의 전자통신동향 분석은 나올 때마다 읽어보고 있는데, 상당히 정리가 잘 되어있는 편이기 때문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주기적으로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제목: AI 기반 이동통신 물리계층 기술 동향과 전망 [1] 저자: 장갑석 (K. Chang, kschang@etri.re.kr) 6G무선방식연구실 책임연구원/기술총괄 고영조 (Y.J. Ko, koyj@etri.re.kr) 6G무선방식연구실 책임연구원/실장 김일규 (I.G. Kim, igkim@etri.re.kr) 미래이동통신연구본부 책임연구원/본부장 가장 먼저 리뷰할 동향은 AI가 PHY Laye..
-
Deep Q Network (DQN)최신 기술동향/인공지능 (AI) 2020. 10. 4. 10:05
이번 글에서 리뷰할 강화학습 알고리즘은 Deep Q-Network (DQN)이다. DQN은 AI의 최강자인 Google Deepmind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강화학습에 Deep Learning을 적용하는 방식의 뼈대가되는 논문 [1] [2]이다. 많은 시나리오에서 자주 사용되고, 강화학습 알고리즘의 큰 축 중에 하나기 때문에, 이미 많은 리뷰들이 있다. 이 글에서도, 간단하게 리뷰를 하고, 이를 이용한 여러 논문들도 함께 소개해보고자 한다. DQN 알고리즘 Deep Q-Network (DQN)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state-action value Q값을 Deep Learning을 통해서 Approximate하는 방식이다. DQN이 나오기 전에는, state-action에 따른 값들을 모두 Ta..
-
Terahertz MAC Protocol Survey 논문 리뷰5G & 6G 통신 기반 기술 2020. 10. 2. 11:09
얼마 전 (2020년 6월)에 완성된 5G Release 16을 이어서, Release 17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동시에, 6G Vision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ITU, 3GPP 등의 표준화 단체에서 2030년 표준화를 목표로 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1] 논문에 6G의 기술 후보부터 Timeline도 잘 정리되어 있다. 기회가 된다면 이 논문도 리뷰할 예정이다. 논의는 시작했지만, 6G에 대해서는 Waveform을 비롯해 정해진 Protocol들이 거의 없다. 정해진 부분들이 적기 때문에, 특정 기술을 대상으로 Parameter를 최적화하는 논문은 거의 없고, 극복해야할 점들과 이를 위한 기술 후보군을 언급하는 Survey가 많다. 이 논문은 대부분의 6G 관련 문서 및 발표에서 필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