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국내 기업 분석 - 펀진 (Funzin)
    투자 및 기업분석 2021. 10. 12. 18:57

     이번 글에서는 AI 및 5G 솔루션 사업을 하고 있는 국내 기업 Funzin [1]을 분석해보려고 한다. 지능정보산업협회에서 AI와 다른 산업을 융합시킨 100대 기업 중 하나로 5G/AI 기업으로 들어가 있는 것 [2]을 보고, 홈페이지를 들어가보게 되었다. 2006년에 설립된 이후로, 포트폴리오를 확장시켜나가고 있는 Funzin은 이 글의 카테고리인 '스타트업'의 기준에서는 살짝 애매하지만,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강소기업을 소개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Funzin은 크게 스마트카 사업, 5G 솔루션 사업, AI 플랫폼 사업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5G 솔루션 사업

     5G 솔루션 사업부터 보면, 5G NR 시스템의 무선전파 환경을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고객사에 제공하는 사업을 진행중이다. 앞선 5G 논문 분석 및 기술글에서 Channel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하는 최적화 방식들을 소개한 적이 있다. 대부분의 논문들에서는 Rayleigh Fading Channel이나 Macro Urban 환경 등의 표준 기반의 모델링을 이용해서 채널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분석 및 최적화를 진행한다. 하지만, 이런 값들은 결국 실험실에서 생성한 데이터들이며, 실제 5G망 (real-world)의 데이터라고 할 수 없다. Generated Model에서 학습된 모델을 실제 5G 망에 적용하기 위한 일부 AI 솔루션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성능 저하는 불가피하다.

     하지만 Funzin처럼 5G 전파를 직접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분석 및 최적화 솔루션을 제공한다면, 통신 서비스를 운용하는 입장에서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홈페이지에 소개된 글을 봤을 때는 SKT, KT와 같은 통신사의 통신망 측정 및 분석 외주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통신사들도 엔지니어들이 직접 나가서 Field Test를 할 것이고, 기지국에서 받는 데이터들로도 통신 최적화를 진행할 수는 있겠지만, 최대한 많은 단말 기반 데이터를 확보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이런 데이터 수집 및 솔루션 제공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은 Wi-Fi 관제 시스템과 POF 스위치에 관한 사업이다. Wi-Fi는 기본적으로 기지국에서 광케이블을 통해 선을 끌어와서, 스위치에서 Throughput을 나눠준 Access Point (AP)에서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Funzin은 AP 시스템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많은 user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분석 플랫폼을 제공한다고 한다. 이외에도 Serengeti라는 셋톱박스를 리모컨이 아닌 자동으로 검증을 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5G 솔루션 사업에서 소개된 NR 및 빔포밍 분석은 5G 솔루션 사업으로 묶일 수 있지만, Wi-Fi나 셋톱박스 분석 시스템은, 개인적으로는, 다른 기업에서도 할 수 있는 통신 품질유지 서비스의 느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카 사업

     스마트카 사업 페이지에 있는 대부분 내용들이 Image Detection 기반의 운전 관련 시스템이다. 눈 모양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졸고 있는지를 알려주거나, 번호판/표지판 등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차를 위에서 내려보는 것 같은 뷰를 제공하는 것 또한 Funzin의 시스템에 포함이 되어있다. 냉정하게 보면, 위에서 소개한 내용들은 다른 AI 기업들에서도 많이 연구하고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이 글만으로는 다른 기업들과의 경쟁 우위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성이 '절대'에 가까워질 정도로 보장되지 않으면, 규제를 통과하기 힘들 것임을 생각하고, 농기계와 골프카트 같은 특수차량에 먼저 Focusing한 것은 좋아보인다. 시장규모는 확인해야겠지만, 관련된 노하우를 쌓으면서, 특정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AI Platform 사업

     AI Platform 사업은 IOT와 AI를 접목시킨 사업이다. 앞서 소개했던 5G 전파를 측정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솔루션을 도출하는 것, 셋톱박스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는 시스템 모두 AI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추가적으로, 전력 사용량 등을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에너지 사용 패턴을 분석해주는 솔루션도 IOT와 AI 간의 결합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또한, IOT와 AI를 접목하는 대표적인 Use case 중 하나로, 이를 얼마나 분석을 잘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을 진행할지는 기업의 노하우에 달려있다.

     

    Conclusion

     Funzin이 비상장 기업이다보니, 사업소개와 뉴스기사 등 제한된 정보로 소개를 해보았다. 3가지 사업구조를 갖고 있다고 쓰여있지만, 그 중 Funzin만이 할 수 있는 아이템이 있다고 하기에는 살짝 무리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결국은 뛰어난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른 기업보다 잘 분석할 수 있습니다!'를 실력으로 증명해야 하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직접 5G 전파 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5G 솔루션 사업같이, 단순히 전달받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고 '분석'하는 프로세스가 있다는 것은 큰 장점으로 보인다. 어떤 Cell Site에서는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해야, 환경을 잘 대표하는 데이터셋을 뽑을 수 있을지, 그리고 그 때는 어떻게 최적화를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노하우를 쌓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Reference

    [1] https://www.funzin.co.kr/main

     

    펀진 funzin - 딥러닝 기반 Vision Computing, AI 소프트웨어 플랫폼

    스마트카 사업, 이동통신 솔루션 사업,AI platform 사업

    www.funzin.co.kr

    [2]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2/109294/

     

    대한민국 유망 AI 기업 100곳 분석해보니… 모빌리티·핀테크·헬스케어 스타트업 눈에 띄네

    “대한민국 ‘인공지능(AI)강소기업’ 어디 없소?” 요즘 기업 C레벨들이 어딜 가나 먼저 물어보는 질문이다. 전 산업군이 빅데이터를 활용하면서 AI를 접목하기 시작했고, 지금 당장 무엇이든

    www.mk.co.kr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